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Status of the Korean ALMA project and highlights of recent ALMA sciences Jongsoo Kim, A-Ran Lyo, and ALMA EA Korea node.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Status of the Korean ALMA project and highlights of recent ALMA sciences Jongsoo Kim, A-Ran Lyo, and ALMA EA Korea node."— Presentation transcript:

1 Status of the Korean ALMA project and highlights of recent ALMA sciences Jongsoo Kim, A-Ran Lyo, and ALMA EA Korea node

2 Locations of ALMA and GMT ALMA GMT

3 Antennas 50x12m-Array + 12x7m- Array + 4 12m-TP Array Longest baseline: 16 km Current: 66 delivered Completed in 2013

4 ALMA Atacama Large Millimeter/Submillimeter Array

5 Resolution and Sensitivity Comparison

6 Atmospheric Transparency 50% 12.5%

7

8 Cycle 0, and 1 Cycle 0 Proposal, obs. completed –Deadline: 2011 July 01 –112/926 Cycle 1 Proposal, ~1131 –Deadline: 2012 July 12 –Highest priority (HP) : 197 (~800 hrs) –Filler projects (FP): 92 (~400 hrs) –Observations: 2013 Jan – 2014 May –300 hrs of HP cycle 1 projects will be carried over to Cycle 2.

9 Cycle 2 Available observation hours for new proposals –1700 hrs (2000 hrs – 300 hrs; cf 800 hrs for C1) for 17 months milestone –05 December 2013, 15:00 UT, proposal submission deadline –April 2014, announcement of proposal review results –1 Jun 2014 – 31 Oct 2015: Science Observations

10 capabilities Cycle 0Cycle 2 antennas16 12m34 12m, 7 7m, 2 TP receiversB3,6,7,9B3,4,6,7,8,9 Maximum baseline (angular resolution) 400m (0.23 arcsec)1.5km[B3,4,6,7], 1km[B8,9] (0.09 arcsec) Full polarizationnoB3,6,7 (1/3 primary beam)

11 33.5% 10% 22.5%

12 SN 1987A 0.33”x0.25”

13 SN 1987A (cont.)

14 SN 1987A Indebetouw+ Cycle 0 observations Dust formation –Production: 0.23Msun/SNII –Survive: 0.1Msun/SNII Spectral slope of torus (synchrotron): - 0.8 Central ejecta: 0.23Msun of amorphous carbon dust at T=26K – Antenna: ~20

15 ALMA survey of SMGs in ECDFS (Extended Chandra Deep Field South) Hodge+ 2013, ApJ, Cycle 0 ALMA band 7 (344GHz, 870  m) Primary beam: 17.3 arcsec Angular resolution: 1.5 arcsec (125m) Observed 126 subm sources detected in LESS (LABOCA ECDFS Submillimeter Survey) by 12m APEX 2 minutes integration time for each source 3x sensitivity, 200x resolution  Resolve previously blended sources  Main 99 SMGs+ supplementary 32 SMGs 50%

16 Maercker+ 2012 (Oct-11), Nature Cyclo 0 December 2011, data delivered CO(J=3- 2) 345GHz 1.3’’x10’’ beam 50’’x50’’ map, 45-point mosaic CASA Large Mass Loss from R Sculptoris, an AGB Star

17 ALMA activities before 2014 in Korea 2012-03-19 –MOU bew. NAOJ and KASI 2012-09-13,14 –ALMA EA Science Workshop 2013-12-05 –Submitted 17 Korean-PI proposals to Cycle 2

18 Preparation of Cycle 2 CfP 우주탐사연구회, KIAS –2013-10-04, Cycle 2 CfP Town Meeting at KASI –2013-10-28, 64 participants –Cycle 2 Capability, OT, CASA Simulator SNU Colloquium –2013-11-21, Cycle 2 CfP ALMA proposals from Korea: 17

19 ALMA+JCMT Korea Project 인원 : –ARC: 김종수, 여아란, 강지현, 포닥 2 인 – 기술개발 : 이정원, 제도흥, 한석태, 강지만, 김승래 예산 : 150 억 /10 년 + 200 억 (2020~2023 년 ) ARC –Proposals, observing scripts, reductions, sciences 기술개발 – 다중빔 수신기 (ASTE  ALMA) – 상관기

20 3 단계 (node, JCMT 운영 + JAO 파견 + ALMA 수신기 제작 완료 ) 3 단계 (node, JCMT 운영 + JAO 파견 + ALMA 수신기 제작 완료 ) 2 단계 (node, JCMT 운영 + JAO 파견 + 수신기 시작품 제작 완료 ) 2 단계 (node, JCMT 운영 + JAO 파견 + 수신기 시작품 제작 완료 ) 1 단계 (node, JCMT 운영 + 수신기 개발 착수 ) 1 단계 (node, JCMT 운영 + 수신기 개발 착수 ) ALMA 국제 협력 사업 로드맵 연구 분야 연구 분야 인력 구분 2014 ~ 2015 2016 ~ 2019 2020 ~ 2023 - 한국 천문 학자들에게 세계 최고의 전파 망원경 사용 기회 부 여 - 수신기, 준 광학계 등 한 국이 보유한 기술을 이용 한 현물 투자 - 대형 성과 창출 - 한국 천문 학자들에게 세계 최고의 전파 망원경 사용 기회 부 여 - 수신기, 준 광학계 등 한 국이 보유한 기술을 이용 한 현물 투자 - 대형 성과 창출 예상성과 과학분야 : 별탄생, 외부은하, 우주론, 등 천문학 전분야 주요활 동내역 연구비 150 억 +(200 억 ) 연구비 150 억 +(200 억 ) 기술개발 ( 다중빔 수신기 개발, 준 광학계 설계 ) 과학자 칠레 JAO 에 파견 ASTE 또는 ALMA 업그레이드에 따른 in-kind contribution 총 10 명 (‘14), 13 명 (‘15) 한국 node 운영 (5 명 ) - 정규 2, 포닥 3 기술개발 (5 명 ) - 정규 3, 기술 1, 전문연구원 1 하와이 근무 3 명 (’15~) 총 10 명 (‘14), 13 명 (‘15) 한국 node 운영 (5 명 ) - 정규 2, 포닥 3 기술개발 (5 명 ) - 정규 3, 기술 1, 전문연구원 1 하와이 근무 3 명 (’15~) 총 20 명 한국 node 운영 (7 명 ) - 정규 3, 위촉 1, 포닥 3 기술개발 (10 명 ) - 정규직 6, 포닥 2, 기술원 : 2 하와이 근무 3 명 총 20 명 한국 node 운영 (7 명 ) - 정규 3, 위촉 1, 포닥 3 기술개발 (10 명 ) - 정규직 6, 포닥 2, 기술원 : 2 하와이 근무 3 명 총 : 4.5 억 (‘14), 11.5 억 (‘15) 운영비 : 2 억 (’14), 3 억 (‘15) 개발비 : 2.5 억 (‘14), 3.5(‘15) - 수신기개발 착수 JCMT 5 억 (‘15) 총 : 4.5 억 (‘14), 11.5 억 (‘15) 운영비 : 2 억 (’14), 3 억 (‘15) 개발비 : 2.5 억 (‘14), 3.5(‘15) - 수신기개발 착수 JCMT 5 억 (‘15) 총 : 18 억 (’16-’17), 23 억 (‘18-’19) 운영비 : 7 억 (‘16-’19) 개발비 : 6 억 (‘16-’17), 11 억 (‘18-’19) - ASTE 다중빔 수신기 개발 (‘16-’17) - ALMA 다중빔 시작품 제작 (‘18-’19) JCMT 5 억 / 년 총 : 18 억 (’16-’17), 23 억 (‘18-’19) 운영비 : 7 억 (‘16-’19) 개발비 : 6 억 (‘16-’17), 11 억 (‘18-’19) - ASTE 다중빔 수신기 개발 (‘16-’17) - ALMA 다중빔 시작품 제작 (‘18-’19) JCMT 5 억 / 년 총 13 억 / 년 - Node 운영비 8 억 / 년, - JCMT 운영비 5 억 / 년 제작비 : 200 억 (4 년 ), 별도예산 신청 총 13 억 / 년 - Node 운영비 8 억 / 년, - JCMT 운영비 5 억 / 년 제작비 : 200 억 (4 년 ), 별도예산 신청 기술분야 : 다중빔 수신기 개발, 준 광학계 설계 ARC 한국 node 운영, 한국 사용자 지원, 사이언스 개발 기술 개발 인력 일본에 파견 총 22 명 한국 node 운영 (8 명 ) - 정규 4, 위촉 1, 포닥 3 기술개발 (11 명 ) - 정규 7, 포닥 1, 기술원 : 3 하와이 근무 3 명 총 22 명 한국 node 운영 (8 명 ) - 정규 4, 위촉 1, 포닥 3 기술개발 (11 명 ) - 정규 7, 포닥 1, 기술원 : 3 하와이 근무 3 명 JCMT 운영, 사이언스 개발

21 ALMA Partnership The Atacama Large Millimeter/submillimeter Array (ALMA), an international astronomy facility, is a partnership of Europe, North America and East Asia in cooperation with the Republic of Chile. ALMA is funded in Europe by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Astronomical Research in the Southern Hemisphere (ESO), in North America by the U.S. National Science Foundation (NSF) in cooperation with the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Canada (NRC) and the National Science Council of Taiwan (NSC) and in East Asia by the National Institutes of Natural Sciences (NINS) of Japan in cooperation with the Academia Sinica (AS) in Taiwan.

22 2014 plan ALMA EA science workshop –July 15-17, Jeju Island workshop for archive sciences and CASA –August(?) ALMA Session at a KAS meeting –Fall meeting


Download ppt "Status of the Korean ALMA project and highlights of recent ALMA sciences Jongsoo Kim, A-Ran Lyo, and ALMA EA Korea node."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