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presentation
1
행 동 수 정 제 2장 행동수정의 일반 모형 변 호 승
2
제 2장. 행동수정의 일반 모형 1. 행동수정의 일반모형 2. 행동수정모형의 구성요소 특징
3
학 습 목 표 1. 행동수정의 일반모형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2. 행동수정모형의 구성요소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
4
1.행동수정의 일반 모형
5
행동수정의 일반모형 - 행동주의 학습심리학이 행동의 체계적인 연구를 위하여 채택하고 있는 학습전형
▶행동수정의 일반모형은 - 행동주의 학습심리학이 행동의 체계적인 연구를 위하여 채택하고 있는 학습전형 행동의 분석적 연구를 위한 지침 행동수정이론의 핵심적 골격을 조직적으로 조립함으로써 행동수정의 실천을 위한 작업계획을 수립할 때 사용될 수 있는 작업지침이 될 수도
6
행동수정의 일반 모형 - 여러 S: 자극 또는 환경적 事象(event)으로 수정자가 조정하는 과정
강화의 강화력을 보장하는 동기유지과정. 후속자극을 효과적으로 만드는 것 주변상황 S: 수정의 표적이 되는 행동. 강도, 빈도, 형태는 S+,S-,S0 에 의해 결정 S+: 행동(R)의 후속결과로서 행동에 조건부로 따라붙는 정적 강화자극 S-: 행동(R)의 후속결과로서 행동에 조건부로 따라붙는 부적 강화자극 S0: S+가 탈락되는 것으로서 행동이 소멸 - 수정을 받는 사람의 행동 또는 반응 수정자가 관찰 가능한 것 후속결과에 의해 강도, 형태 규정 Se: 수동행동 유발자극. 강한 불빛 SD: 변별자극. 강화를 받을 자극 이성진 (2002). 행동수정. 교육과학사.
7
행동수정이 개입되는 경우 1) 바람직한 행동을 습득하지 못했을 때 (말을 하지 못할 때)
2) 환자의 행동이 잘못 프로그램 되었을 때 (말더듬은 학습된 습관) 3) 전에 하던 행동을 못하는 경우 (벙어리가 된 정신병자) 4) 변별의 결손 (엉뚱한 행동을 할 경우) 5) 행동이 후속결과의 통제를 받지 못할 때 ( 남의 물건을 훔친다)
8
2.행동수정모 형의 구성요소
9
1) 행동 또는 반응 수동행동: 불수의적(不隨意的) 행동. 어떤 선행자극에 의해서 부득이 일어나는 행동. 반사적 행동
1) 행동 또는 반응 수동행동: 불수의적(不隨意的) 행동. 어떤 선행자극에 의해서 부득이 일어나는 행동. 반사적 행동 반응을 일으킬 수 없던 자극과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자극이 짝 지워져 반응을 일으키는 힘을 얻게 되는데 이 과정을 조건형성과정이라 함 <예시> 주사바늘이 들어갈 때 운다 --> 주사바늘 보고 운다 --> 간호사만 보고 운다. 자극력 없던 간호사가 자극력 획득. 정서반응은 수동조건형성과정 거쳐 획득되는 경우 많아. 고전적 조건형성이라고도 함.
10
1) 행동 또는 반응 작동행동: 인간의 대부분의 행동은 수의적(隨意的) 행동. 作動(작동, 조작적: operant)행동. 수동은 선행 자극에 의해 통제되지만, 작동은 후속결과에 의해 통제 <예시> 어린이가 칭얼거릴 때 과자 주면, 향후 칭얼거릴 가능성 높아짐. ※ 작동의 결과로 가해진 강화자극에 의해 작동이 다시 일어날 확률이 증가되는 것을 작동(조작적)조건형성 수동과 작동의 관계: 차이는 자극이 반응 이전/이후 대부분의 정서적 행동, 생리적 반응은 수동 신체의 운동, 언어 등은 작동
11
2) 반응군과 자극군 반응군: 행동의 형태는 다르지만 동일한 결과 초래하는 행동 <예시>
2) 반응군과 자극군 반응군: 행동의 형태는 다르지만 동일한 결과 초래하는 행동 <예시> 손가락으로 점자 더듬는 행동, 눈으로 활자 보는 행동 자극군: 형태는 다르지만, 동일한 작동 일으키는 자극 ‘서시오’ 표지판과 “빨간 신호등”.
12
3) 자극과 반응과의 관계 행동수정에서는 행동을 종속변인(결과)과 독립변인(원인) 모두로 봄 <예시> 독립변인
3) 자극과 반응과의 관계 행동수정에서는 행동을 종속변인(결과)과 독립변인(원인) 모두로 봄 <예시> 독립변인 아이의 무의식, 정서적 요인 종속변인 오줌을 쌈 독립변인 어머니의 대처 종속변인 오줌 싸는 행동을 변화시킴
13
4) 강화(reinforcement) 반응의 결과가 그 반응이 일어날 확률/강도를 증가시키는 것
정적강화물: 반응이 조건부로 제시되었을 때 반응을 강화하는 모든 자극 부적강화물: 반응이 조건부로 제거되었을 때 반응을 강화하는 모든 자극 중립자극: 반응결과로 반응 강도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하는 자극
14
프리멕(Premack)의 원리: 일어날 확률이 높은 행동은 일어날 확률이 낮은 행동에 대한 강화자가 될 수 있음
많이 놀고(확률이 높은 행동) 적게 공부하는(확률이 낮은 행동) 아동에게 공부하는 행동을 길러주기 위해서 10분 공부하게 한 뒤 20분 놀게 함 강화스케줄 <문제> A 비둘기는 반응 하나 걸러 강화 받고, B 비둘기는 반응 할 때마다 계속 강화를 받았을 때 강화를 중지하면 어떤 비둘기의 행동이 빨리 소멸될까? <답> (간헐)강화에 의해 학습된 행동이 (계속)강화에 의해서 학습된 행동보다 소멸에 대한 저항이 강함
15
Quiz
16
1. 다음 중 행동수정이 개입되는 경우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바람직한 행동을 습득하지 못했을 때 ② 환자의 행동이 잘못 프로그램 되었을 때 ③ 전에 하던 행동을 못하는 경우 ④ 행동이 후속결과의 통제를 받을 때
17
2. 다음 행동수정의 일반모형에서 알맞은 말을 넣으시오. A: ( ) – B: ( )- C: ( )
선행자극 행동 후속결과
18
고맙습니다.
Similar presentations
© 2025 SlidePlayer.com. Inc.
All rights reserved.